본문 바로가기
생활과 연결되는 경제 이야기

블로그나 부수입 있는 사람도 꼭 알아야 할 기초 정리

by pretty happy Money Rule 2025. 5. 22.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입니다. 블로그 수익, 프리랜서 외주비, 제휴마케팅 수익 등
부업이나 부수입이 있다면 꼭 알아야 할 종소세의 개념과 신고 절차를 기초부터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홈택스 웹사이트에서 종합소득세 신고를 준비하는 프리랜서 초보자의 일러스트, 책상 위에는 계산기와 영수증이 놓여 있음
홈택스 웹사이트에서 종합소득세 신고를 준비하는 프리랜서 초보자


매년 5월, 왜 ‘종소세’ 이야기가 쏟아질까?

블로그 수익, 쿠팡 파트너스 수익, 유튜브 수익, 강의료, 외주비…
혹시 이런 수익이 1원이라도 있으셨다면,
5월이 되면 반드시 마주하게 되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종합소득세’입니다.


그런데 이름도 낯설고,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죠.
이번 글은 종합소득세가 처음인 사람도 무리 없이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한 기초 입문서입니다.


종합소득세란 뭔가요?

‘종합’이라는 말처럼, 한 해 동안 벌어들인 여러 가지 소득을 모아 계산해서 내는 세금입니다.

구분 예시

근로소득 월급, 연봉
사업소득 블로그 수익, 유튜브 광고비, 강사료, 스마트스토어 매출 등
기타소득 인세, 상금, 일시적 프리랜서 수입 등

📌 근로소득만 있는 직장인은 연말정산으로 끝나지만,
그 외 수익이 있는 사람은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따로 해야 합니다.



이런 분들이 신고 대상입니다

  • 블로그 수익으로 1년에 1건이라도 광고비를 받은 분
  • 프리랜서로 강의, 외주작업, 콘텐츠 제작 등 용역을 제공한 분
  • 쿠팡 파트너스 등 제휴마케팅 수익이 발생한 분
  • 스마트스토어 매출이 발생한 소상공인

👉 단, 소득금액이 아주 적더라도 ‘신고 의무’는 생길 수 있습니다.



꼭 알아야 할 핵심 개념

✅ 사업자 vs 비사업자

  • 사업자 등록 없이 수익이 발생한 경우에도 신고 대상입니다
  • 단지 ‘사업자 등록 여부’는 세율이나 공제 항목에 영향을 줄 뿐입니다


✅ 단일 소득 vs 여러 소득

  • 유튜브 + 강의 + 인세처럼 여러 소득이 있는 경우, 모두 합산해 신고해야 합니다
  • 단, ‘근로소득’은 연말정산으로 처리되므로 별도 합산은 아님



종소세 신고, 어떻게 시작하나요?

1. 홈택스 접속 (https://www.hometax.go.kr)

  • 공인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로그인
  • ‘종합소득세 신고’ 메뉴 클릭

2. ‘모두채움 신고서’ 확인

  • 국세청이 미리 채워놓은 수익 내역을 확인
  • 없으면 ‘일반 신고서’로 직접 입력

3. 필요경비와 공제 항목 입력

  • 필요경비: 실제 비용 (노트북, 교통비, 인쇄비 등)
  • 공제: 기본공제(본인, 부양가족), 보험료, 기부금 등

👉 경비와 공제를 잘 입력하면 과세표준이 낮아지고 세금이 줄어듭니다

4. 전자신고 제출 → 납부 (또는 환급)

  • 납부는 카드, 계좌이체, 간편결제 가능
  • 환급이 있는 경우 6월 말~7월 초 지급



정리

항목 요약

신고 기간 매년 5월 1일 ~ 5월 31일
대상자 사업자·프리랜서·부수입 있는 누구나
준비물 홈택스 로그인, 수익 내역, 경비 자료, 공제 항목 정리
도움되는 것 경비/공제 잘 정리하면 절세 가능

종합소득세는 ‘얼마 벌었는지’보다
‘어떻게 신고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완전히 달라집니다.